오픈AI가 인공지능(AI) 기반 심층 연구 도구 ‘딥 리서치(Deep Research)’의 사용 범위를 모든 유료 사용자로 확대했다. 기존에는 월 200달러의 ‘챗GPT 프로’ 구독자만 이용할 수 있었으나, 이제 플러스(Plus), 팀(Team), 에듀(Edu),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구독자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조치는 구글, 퍼플렉시티(Perplexity), xAI 등 주요 기업들이 유사한 AI 연구 도구를 선보이며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오픈AI의 시장 우위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딥 리서치, 모든 유료 구독자에게 확대 제공
오픈AI는 25일(현지시간)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번 변경 사항을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플러스, 팀, 에듀, 엔터프라이즈 구독자는 월 10회의 쿼리 요청이 가능하며, 기존 100회의 요청 한도를 가졌던 프로(Pro) 구독자는 120회로 상향 조정됐다.
딥 리서치는 온라인의 다양한 출처를 분석 및 종합해 연구 분석가 수준의 보고서를 생성하는 AI 에이전트로, 오픈AI의 대표적인 고급 기능 중 하나로 꼽힌다.
이 AI는 오픈AI의 ‘o3’ 특별 버전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체계적인 연구 계획을 수립한 후 반복적인 검색과 분석을 수행해 최신 정보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보다 정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딥 리서치 기능 강화… 인용 및 이미지 추가 가능
오픈AI는 이번 확대 조치와 함께 딥 리서치의 기능도 대폭 업그레이드했다. 새롭게 추가된 기능으로는 △보고서 내 인용(reference) 및 이미지 추가 △다양한 파일 유형에 대한 향상된 이해도 △문서 분석 성능 개선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일반적인 프롬프트 입력 후 딥 리서치 아이콘을 탭하여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답변 생성에는 약 5분에서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다만, 고도의 연산 자원이 필요한 만큼 무료 사용자에게는 제공되지 않는다.
API 출시 계획 연기… AI의 설득력 문제 고려
한편, 오픈AI는 딥 리서치의 기반 AI 모델을 개발자용 API로 제공하려던 계획을 보류한다고 밝혔다. 이는 해당 AI가 인간을 설득하는 능력이 뛰어나, 충분한 안전 조치를 마련하기 전까지는 챗GPT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조치는 AI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안전성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이며, 오픈AI가 고급 AI 기능을 점진적으로 개방하는 전략을 유지할 것임을 시사한다.
답글 남기기